youtu.be/CD5HjQCePME "실패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진 자만이 성공한다" 사람은 80%가 실패함, 작은 실패를 많이 해 본 사람은 큰 실패를 할 가능성이 적다. 1. 실행력 & 분석력 무조건 실행해 본다. 실패는 반드시 생긴다. 실패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하고 또다시 실행해 본다. 2. 절실함 vs 궁핍함 내가 원하는 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절실함'.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 한다.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고 이것저것 욕심만 내고 갖고있으려고만 하는 것은 '궁핍함'. 시도하고 도전하는 사람들의 특징 1. 머리속이 단순하고 명쾌함 2. 닫힌 생각이 아니라 열린 생각을 함 3. 부정적이지 않고 긍정적임
youtu.be/-Ew2XgYf-6Y (1) 종잣돈(씨드머니) - 작은 돈을 투자를 통해 굴려서 종자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땀흘린 노동.노력'의 대가로 만들 것. 조그만 돈으로 주식투자 등을 해서 종자돈 모으는 것보다, 저축하고 공부하면서 노동시간을 늘려야 한다. 부자가 되고 싶은 목표 금액의 10분의 1을 씨드머니로 (2) 언론에 선입견을 가지지 말고 주언론과 섞을줄 알아야 함. (3) 부자가 되는 것은 일종의 선택의 문제이다. 부자되기를 선택했다면 안정, 워라벨과 같이 갈수 없다. 양립할 수 없다. 명예, 워라벨, 안정감, 관계 등을 내려놓고 반대로 가야 부자가 될 수 있음. (4) 국내언론만 믿을 수는 없음 / 해외(미국) 언론에도 주목해야 함.
youtu.be/u_ToQbfzIaI 삶의 방향을 바꾸는 2가지 열쇠 1. 고통 : 고통의 끝에서 객관적으로 현실을 자각하고 마주하는 것. 고통의 밑바닥까지 가야 변화를 필요성을 느낀다. 그때 눈빛이 바뀐다. "어둠"이 "얻음"이다. 2. 성장욕구, Inspiration : 절실함으로 마음의 준비를 한다. 목표를 세워서 몰입을 한다. 좋아하는 것을 위한 목표를 잡고. 왜?가 명확하게 있으면 좋다.
youtu.be/mF8l1QbRSOk1. 언어습관은 길러진다. 연습하라. 2. ”왜냐하면” 뒤에는 합리적인 이유가 올거라는 믿음이 있다. 3. 상대방에게 이득이 되는 부분을 말하라. 4. 부정적 언어 (ex. 부담, 오해) 습관을 빼라. 5. "그런데" vs "그리고". 접속사를 구분하기 너는 성격이 좋아 그리고 이거까지하면 완벽해 (최면언어사용) 6. "아시다시피~" 는 수긍하게 한다. 7. 뭔가를 얻으려는 사람과 한팀이 되어야한다. 왜냐하면, 아시다시피, 아시죠, 그리고~까지~하면좋겠어, 상대방에게이득이되는것을말하기 너 성격 좋아. “근데” 이걸 고치면 좋겠어 = X 너 성격 좋아. “그리고” 이걸 하면 더 좋을 것 같아 = O Yes But (맞아요 그런데) vs Yes And (맞아요 그리고)
youtu.be/WqY5olSMvw4 다름을 획일화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말 것. 자신의 캐릭터를 만들 것. 내가 하는 일, 내가 좋아하는 일에 대한 긍지를 가질 것. 이건 나니까 할 수 있어, 이건 내가 최고야 하고 생각할 수 있을 정도로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 빽도 없는데 어떻게 해? 내 빽은 나야 남이 하지 않아서, 남이 하지 않더라도 나는 한다. 모든 생명체가 경쟁을 최대한 피하게끔 진화해 왔다 = 캐릭터가 있다는 것은 경쟁이 없다시피 하는 것. (캐릭터가 있는 사람은 아예 다른 차원에 있기 때문에 굳이 남과 경쟁할 필요 없다) 남들은 남이고, 나는 나와 경쟁한다. 더 나은 나를 끌어 올리기 위해서.
youtu.be/N_AZrb8jDow “팩트로 때리는 것 금지!” 팩트만 얘기하면 설득력이 없을 수 있다 감정부터 짚어라. “대화 폭식 금지” 많이 말해야 설득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설득력이 가장 높은 대화의 비율은 나3:상대7. 왜냐하면? 상대가 정서적인 만족감을 얻기 때문 “상대방을 관찰해라” 상대가 상처받는 포인트, 불편한 포인트를 파악하면 실수를 줄이면서 관계가 개선될 수 있다. 대화의 질이 관계의 질을 규정하기 때문에 상대방을 관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youtu.be/iXDCRcgERuw 거절 못하는 사람은 내가 진짜 원하는 게 뭔지 모르는 사람일 수 있다. 그럼 거절 잘하는 사람은? 정체성 있는 사람들. 목적지가 없는 사공에게는 그 어떤 바람도 순풍이 아니다. 나의 삶의 방향, 목적지로 데려다 줄 순풍은 아니다. 내가 어떤 삶을 살아야할지, 무엇을 해야할 지를 아는 정체성을 갖는 게 중요하다. 정체성이란? 자기개념이 내가 생각하는 나로 그 역할에는 우선순위가 없다면 정체성은 그 중에서도 나에게 의미있는 것이다. 나의 인생 이야기에는 살아왔던 모든 사건들이 기억되는 게 아니라 나에게 의미 있었던 사건들만 선별적으로 들어와있다. 나와 주인공에게 의미있는 순간들만 기록이 된다. 그 내용을 생각해보고 언제 내가 내 삶이 충만하다고 느꼈는지? 언제 행복했는지..
youtu.be/iv4l8U6Gk-0 1. 실행력 메타인지능력(자기객관화)이 중요! 작심삼일에서 그치지 않기 위해 어떻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 --> 환경세팅(접근동기/회피동기) 장기적인 목표에는 접근동기(행복회로) 단기적인 목표에는 회피동기(100만원을 내기, 타인에게 무시당하는 것, 모임장이 되는것) 2. 정체성 찾기(일기쓰기, 글쓰기가 도움이 됨) 자기주관이 확립되어있는 상태. 스트레스가 되는 이슈에 대해서 '회피'하지않고 결론을 내리고 잘 정리하는 것. 왜 스트레스가 되고, 내 주관에 따라 어떻게 정리하고 행동해야하는지. 어떤 이슈에 대해 결론을 내리고 그것들을 모으고 글로 표현해서 정리해두는 것. 삶의 최대행복추구 = 내가 어떤 때 행복한지 결론들을 정리해두는 것. 행복과 성장이 같아야 함. 행..